ARTIC WhitePaper KR
  • 1. Preface
  • 2. Introduction
    • 2.1. 미술품 시장
    • 2.2. 시장 문제점
      • 2.2.1. 중개인 개입
      • 2.2.2. 저작권 침해
      • 2.2.3. 미술품 위작
    • 2.3. ARTIC팀의 미션
  • 3. ARTIC
    • 3.1. Why Blockchain?
      • 3.1.1. 중개인 제거
      • 3.1.2. 소유권 증명
      • 3.1.3. 프로비넌스 구축
    • 3.2. ARTIC Platform
      • 3.2.1. NFT Marketplace
      • 3.2.2. Meta Exhibition
      • 3.2.3. AI Center
      • 3.2.4. D-BOOK
    • 3.3. ARTIC (ARTIC Token)
      • 3.3.1. Token Model
      • 3.3.2. Token Economy
        • A. Payment
        • B. Staking
        • C.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inzation)
      • 3.3.3. Business Model
  • 4. Gallery360
  • 5. Token Distribution
  • 6. Team & Advisor
    • 6.1. Team
    • 6.2. Advisor
  • 7. Roadmap
  • 8. Disclaimer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3. ARTIC
  2. 3.3. ARTIC (ARTIC Token)
  3. 3.3.2. Token Economy

A. Payment

ARTIC 플랫폼에서 소비자는 일정 이용료를 지불하고, 자유롭게 작가의 VR 갤러리를 방문할 수 있다. 작가의 작품은 NFT 로 저장되어, VR 갤러리를 방문한 후에 작품 구매를 희망한다면 토큰 결제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VR 갤러리 이용료와 NFT 수수료 중 일부는 DAO 풀에 축적된다. VR 갤러리는 작가의 전시회를 목적으로 활용되거나 전시 기획자의 전시를 목적으로 대관하여 활용될 수 있다. VR 갤러리 제작 수수료와 대관 수수료는 VR 갤러리 이용료에 포함되며, 이는 DAO 풀에 축적되는 수수료 중 일부이다. 소비자는 NFT Marketplace에서 작품 또는 이미지를 토큰 결제로 구매하거나 렌탈할 수 있는데, 이때 거래 대금의 일부가 플랫폼 수수료로 지불된다. 작품을 작가를 대신하여 판매하는 아트 컨설턴트도 의뢰자로부터 토큰 결제를 통해 수수료를 지급 받는다. 이 외에도 소비자의 작품 주문제작 요청과 옥션 등 ARTIC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대부분에서 ARTIC 토큰이 결제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향후 추가되는 결제 정책은 DAO(탈중앙화 조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Previous3.3.2. Token EconomyNextB. Staking

Last updated 3 years ago